본문 바로가기
  • 세포까지 건강하게! 정박사의 셀 연구소
  • 세포까지 건강하게! 정박사의 셀 연구소
오메가3 레포트

오메가3 종류가 궁금해요? rtg 오메가3 알려드립니다.

by 셀랩 정박사 2025. 3. 5.

오메가 3는 어제 오늘 인기있는 건강식품이 아닙니다.

꽤 오래전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해외 여행을 다녀오시는 분들이라면 오메가3와 같은 기능성식품 하나 정도는 선물로 챙겨들 오지 않으셨나요?

저도 그랬습니다.

제가 건강기능성 식품은 어릴 때부터 그냥 간식먹듯 먹었던 거 같아요.

다른 건 몰라도 오메가3는 20년 전부터 꾸준히 먹고는 있었어요.

몸에 좋고 나쁘고를 따져서라기 보다

친정집이 호주거든요...

그러다 보니 지금까지 그냥 계속 선물로 보내 주셔서 습관처럼 먹었던 거 같구요

저희 남편이랑 아이들도 다 같이 먹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제가 직접 쿠팡에서 구입도 해서 먹는 제품도 생겼어요.

rTG 제품으로 하나 사서 바꿔 봤죠.

(내돈내산이구요, 상품 홍보 아닙니다~^^)

왜냐하면

요즘엔 차세대 오메가3라고 하는 알티지 오메가3가 이슈입니다.

또, 궁금하니까~~구입해 봤죠 !!!

여담인데...제가 쇼호스트일때 많이 들었던 지적이...

상품을 판매해야 하는데 너무 깊게 공부를 한다~~ 정보는 간략히 상품 특징을 전달하고 팔아라...였거든요.

근데, 그 버릇 어디갑니까?!

뭘 하면 자꾸 궁금해 지더라구요. 이렇게 유튭 채널 진행하고 블로그 정리하면서

맘데로 깊게 공부하고 찾아보고... 그거 하난 좋은 거 같아요.

 

그거 아세요? 오메가3는...

재밌는 건 말이죠...

이 알티지 오메가3라는 성분 이름이

스믈스믈 나오기 시작한 것이 2020년 봄부터 이슈가 시작된 겁니다.

2020년 즈음에 네이버 검색어에서 올라오기 시작하더니....

지금 연간 검색어 상위권을 계속 유지하고 있거든요.

요즘 핫한 #rTG #오메가3 와 왜 그렇게 인기인지 확인 한번 하고 가려고 합니다.

오메가3. 드시는 분들 많겠지만 아직 모르는 분들도 계시죠.

오메가3는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성분인데 우리가 체내에서 합성을 못 하거든요.

"오메가 3""오메가6"는 세포막을 구성하는 지방산인데요.

오메가 3는 지방을 분해하고 오메가6는 지방을 축척합니다.

오메가3는 움직임이 활발한 반면에 오메가6는 느리구요,

결과적으로 대사 속도가 더뎌지는 겁니다.

오메가3가 빠르게 움직이다보니

세포막을 구성물이 활발하게 움직이고

호르몬과 빠르게 반응하고

포도당과 같은 물질도 세포막으로 빠르게 들어온다는 겁니다.

그런 원리로 세포막 전체가 빠르게 기능하도록 하는 것이죠.

혈행건강 뿐만 아니라 피부 노화와도 연관이 있더라는 겁니다.

이런 정보는 몇 년전 SBS 옥수수의 습격이라는 다큐멘터리에서 처음 접했었습니다.

자료: SBS 옥수수의 습격

오메가 6를 많이 먹은 종양을 심은 실험군에서는 종양이 훨씬 더 크게 자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거든요...

그 영상이 잊혀지질 않습니다. ㅜ.ㅜ

오메가6와 오메가3 지방산은 동물의 몸에서는 만들어 지지 않는다고 했죠?!

오직 식물만이 이를 합성한다는 겁니다.

식물의 잎에는 주로 오메가3 지방산이 들어 있고,

씨앗, 곡물류에는 오메가 6 지방산이 들어 있습니다.

옥수수는 오메가6와 오메가3의 구성 비율이 무려 66:1

그래서 옥수수 사료를 먹고 자란 소, 돼지, 닭고기가 문제고

그 고기에서 나온 우유, 유제품에 오메가 6 비율이 넘나 높고

그런 식품을 과도하게 먹고 있는 우리 현대인의 오메가 6비율은 높고 오메가3의 비율이 낮다는 것이죠.

이 부분이 문제인 겁니다.

풀을 먹고 자란 고기는 괜찮더라구요...


자, 그래서 ~채식, 잎사귀 식물들 많이 먹자곤 하는데 잘 안 되니까~~ 캡슐 형태의 기능성 식품을 드시죠.

근데 말입니다~~~!

오메가3를 섭취할 때 흡수가 잘 되면 좋겠죠.?

그 부분에 대해서도 꾸준히 연구가 되어 왔는데요.

분자형태에 따라서 1세대의 TG형이 있었다면,

2세대의 EE형,

그리고 지금의 rTG형이 있습니다.

1세대 오메가 3라고 할 수 있는 TG형은 (triglyceride) 중성지방구조인데요 ,

불포화 지방산과 다른 지방산이 붙은 생선 기름을 갓 짜낸 형태의 구조입니다.

흡수는 잘 되지만 함량을 높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2세대 오메가3라고 할 수 있는 EE형은

기존 TG형 이후에 개발된 추출발식인데요 불포화지방산 외에 불필요한 지방산을 제외한 구조입니다.

하지만 체내에서 생체 이용률이 좀 낮았습니다.

그리고 지금 나온 3세대, rTG 형은 자연의 분자 형태와 유사하게 복원했습니다.

글리세롤 분자에 오메가3 지방산을 붙인거죠.

EPA+DHA 함유유지의 생체 이용과 체내 흡수율을 높인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애들끼리는 잘 어울리는 원리이랄까요?!

개발은 몇 년전이지만 현대인의 식생활과 맞물려서 최근에 이슈화 되고 엄청난 마케팅 기획을 한 것 같아요.


오메가 3는 물론 딱 필요한 영양소는 맞는데...

지방이니까...산폐가 잘 되거든요?

그래서 좀 찜찜하다는 업계분들도 계십니다.

가장 좋은 방법이야, 채식으로 흡수하면 되지만

여력이 안되거나 시간이 없다면~~ 캡슐 상태도 좋겠죠.

고르실 때 기준은,

1. rTG 오메가3인지 확인하고

2. 제조원료사를 보셔요.

아무래도 건강식품은 위생이나 원재료가 중요하니까요.

추천은..

Solutex, KD Pharma Group , 알래스카 오메가3, 바스프

3. 다음엔 이 원료가 어디에서 추출되었는가? 입니다.

심해 어류도 먹이사슬에 따라 다양하죠?

그래서 어느 원료에서 추출했나 확인해 보시는 것도 포인트라고 생각하구요,

식물성 오메가3가 좋으냐 하는 질문도 있는데요,

상품화 되어 있는 것 중에는 호두, 아마씨...이런제품보다는

심해 녹조류 추출 오메가3가 식물성으로 판매되고 있기도 합니다만,

아쉽게도 생선의 오메가3 보다는 함량이 낮습니다. 가격도 좀 비싼 편이기도 했구요.

선택은 나의 기준에 맞추어서 하면 될 것 같습니다.

4. 그리고 포장 상태입니다.

저는...옛날 호주가면 친척분들이 주던 선물이 이런건데요...

대대용량!!! 이런 대용량은 푸짐해 보이지만 보관할 때 아~주 힘듭니다.

중간부턴 비린내가 올라옵니다. 산폐된 거죠....ㅜ.ㅠ

그래서 원통타입이라도 소량씩 포장되어 있거나,

소분해서 밀봉해 주시는 것도 좋다고 생각해요. 차선책으로...

아니면 1캡슐씩 독방에 들어 있는 제품도 좋죠.

이것도 재질에 따라서 더 산폐가 되니 안 되니...하는데

완전 알루미늄이나 밀봉상태 아니면 비슷하다는 업계 지인분의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유행은 돌고돈다는 말도 있구요,

역사는 반복된다는 명언도 있죠.

이런 말은 비단 역사나 패션에만 적용되는 말이 아니더라구요...

하지만 중요한 것은,

아무리 좋다는 명약도 내가 먹어야 보약이 되는 것 아니겠습니꺄~?!!

100년을 산다는 지금,

좋은 건강식품 선택하시고 꾸준히 복용하시면서 건강하게 살아요~!!

** 쉽고 자세하게 rtg오메가3 에 대하여 알고 싶으시다면, 저의 유튜브로 오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PL9JtzCy0ic&ab_channel=%EC%85%80%EC%97%B0%EA%B5%AC%EC%86%8C

 

반응형